공광규
  • korea.jpg
어린 풀과 벌레와 곤충을 밟지 않으려고 맨발로 산행하며 자연과 교감하며 시를 쓰고 있습니다. 1960년 서울 돈암동에서 태어나 충남 홍성과 보령을 거쳐 청양에서 자랐습니다. 동국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단국대 문예창작학과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1986년 『동서문학』 신인문학상에 당선된 이후에 신라문학대상, 윤동주상 문학부문 대상, 동국문학상, 현대불교문학상, 김만중문학상, 고양행주문학상을 수상했습니다. 2013, 그의 자연 친화적이고 호방한 시 [담장을 허물다]가 시인과 평론가들이 뽑은 가장 좋은 시로 선정되었습니다. 시집으로 『대학일기』 『마른 잎 다시 살아나』 『지독한 불륜』 『소주병』 『말똥 한 덩이』 『담장을 허물다』가 있으며, 어린이를 위하여 『성철 스님은 내 친구』 『마음 동자』 『윤동주』를 쓰기도 했습니다. 이번에 쓴 책 『구름』은 수천 년 전부터 우리 민족이 시간을 가리키는 데 사용해온 열두 가지 동물을 구름이 순서대로 만드는 이야기입니다. 우리 민족은 지금도 사람의 나이에 따른 순서를 열두 띠로 정하는데, 그렇듯 사람은 누구나 별이 반짝이는 아름다운 하늘을 배경으로 열두 띠의 구름처럼... 모였다가 흩어진다는 깊은 뜻을 책에 담았습니다.
1